제 64 호 |
현충일(顯忠日) |
교육연구부 |
2010.06.01 |
가. 현충일의 유래와 의의
성스러운 국토 방위를 위하여 조국의 수호신으로 화한 전몰 장병들의 영령에 대하여 그 위훈(偉勳)을 추모하여 명복을 기원하는 날이 현충일이다.
우리 나라가 공산 침략을 받아온 이후 현충일 결성이 되기 전까지는 육?해?공군이 합동하여 산화한 영령들을 추모 기념해 왔던 것인데, 1956년 국무회의의 의결을 걸쳐서 국방부령 27호로서 6월 6일을 현충일로 제정하고 공휴일로 정하여서 서울 영등포구 동작동 국립묘지에서 육?해?공군 및 해병대의 현충 전몰 장병의 영령을 추모하는 제전(祭典)이 온 국민의 정성으로 거행되어 영혼을 추모하고 명복을 빈다. 이와 때를 같이 하여 전국 각지에서도 각 지방마다 엄숙한 제전을 거행하여 온 겨레가 애도의 뜻을 표하게 된다.
이 같은 행사를 통하여 온 국민이 호국 정신을 새롭게 다지며, 오늘의 고도한 경제 성장과 국가 발전으로 우리가 평화롭게 잘 살 수 있음은 오직 순국 열사들의 거룩한 은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호시탐탐 남침을 노리며 전쟁 준비에 광분하는 북한 공산 집단의 침략을 분쇄할 수 있는 호국분투의 용기와 각오를 이 날을 기하여 새로히 가져야 할 것이다.
나. 현충일을 전후하여
○ 전 가정에 국기(반기:조기弔旗)를 게양하고 음주, 가무, 향락을 자제한다.
○ 당일 10:00시 정각에 싸이렌이 울리면,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며
1분간 묵념(?念)한다.
○ 묵념시간 중 열차를 제외한 모든 차량은 정지한다.
○ 추념식과 충혼탑 참배에 참여한다.
○ 상이 군경을 위문하고 또 전몰 장병 유가족들을 위문한다.
2010년 6월 1일
대 곶 중 학 교 장
번호 | 제목 | 등록인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
---|---|---|---|---|---|
133 | 2011년 장애인의 날 가정통신문 | 유지웅 | Apr 20, 2011 | 637 | |
132 | 2011년 인터넷 이용습관 전수조사 | 서윤주 | Apr 18, 2011 | 610 | |
131 | 동아리활동 전일제 가정통신문 | 차동우 | Apr 15, 2011 | 606 | |
130 | 계기교육(한식 및 식목일) | 임동필 | Apr 7, 2011 | 603 | |
129 | 세계 보건의 날 홍보 및 보건소식지 | 이영희 | Apr 6, 2011 | 581 | |
128 | 현장체험학습(영어캠프) 가정통신문 | 손문화 | Mar 29, 2011 | 636 | |
127 | 해외어학연수 및 문화체험 참가 희망 가정통신문 | 박미애 | Mar 28, 2011 | 581 | |
126 | 교원능력개발평가 안내 가정통신문 | 임동필 | Mar 28, 2011 | 591 | |
125 | 2011 학생봉사활동 안내 가정통신문 | 서현정 | Mar 21, 2011 | 583 | |
124 | 2011 특수학급 방과후학교 안내 가정통신문 | 서현정 | Mar 21, 2011 | 591 |
학교에서 전하는 가정 통신문을 안내하는 곳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