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은 조선 4대 왕인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창제하시고 널리 펴신 날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1. 의의
본래 우리 민족은 문화와 언어가 있었으되, 이를 기록하는 문자가 없어 외국 문자인 한자를 빌어다가 사용하였기 때문에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으며, 백성들이 서로 뜻을 바르게 전달하지 못하였습니다. 이것을 불쌍히 여겨 우리의 언어에 들어맞는 우리의 글자를 여러 해 동안 연구하여 마침내 우수한 우리 문자를 창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 후, 우리 한글은 당시의 모화 사상으로 인하여 수모와 천대를 받아가면서도 많은 학자들이 아끼고 다듬어서 연구 발전시켰으며, 우리의 고유 문화를 더욱 찬란하게 꽃피게 하였습니다. 무릇 그 민족에 문자가 있고 없는 것으로써 그 민족의 존망을 가름하여 왔음을 인류 역사가 증명하고 있습니다. 문자를 갖지 못한 민족은 일찍이 멸망하였거나 타민족에게 동화되어 버렸지만 문자를 가진 민족은 고유의 문화와 역사를 지니고 발전하여 왔던 것입니다.
우리 민족이 대륙의 강대한 민족들의 침공을 끊임없이 받아 왔지만 끝끝내 민족의 자주성을 지키고 오늘에까지 이어온 것은 오로지 우리의 문화를 지키고 타민족에 동화하지 않은 위대한 국민성에 있겠지만, 우리의 고유 문화를 수호하게 한 우리 문자가 있음으로써 가능했던 것입니다.
이러한 견지에서 오늘의 뜻 있는 날을 맞이함에 있어 우리의 선조가 낳은 우리의 고유 문화를 이해하게 하고, 세계에 뛰어난 우수한 한글을 자랑으로 삼으며 스스로 아끼고 바르게 쓰는 참된 태도를 길러야 할 것입니다.
2. 한글날의 유래
1926년 10월에 훈민정음 반포 팔주갑(八周甲) 480년을 맞이하여, 세종 실록 28년 9월조를 따라 음력 9월 말일을 <가갸 날>이라고 임시로 부르고 국어 연구학자들이 일반과 합동으로 제 1회 기념식을 올린 때부터 시작되어서, 1927년 <한글날>이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습니다.
1932년부터 양력으로 환산하여 10월 29일로 하다가 2년 후 환산에 문제가 있어서 재환산하여 10월 28일로 고쳤는데, 1940년 경북 의성의 어느 고가에서 훈민정음 반포 원본이 발견되어 <9월 상한(上澣)>이라는 기록에 의거하여 상순의 끝 날짜인 10일로 잡아 환산해서 10월 9일로 확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한글날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중단되었다가 해방과 함께 다시 부활되어 오늘까지 시행되고 있습니다.
번호 | 제목 | 등록인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
---|---|---|---|---|---|
224 | 진로관련『드림레터』안내 | 이소연 | Mar 20, 2012 | 394 | |
223 | 천안함 피격사건 2주년 “나라사랑교육” | 이소연 | Mar 20, 2012 | 384 | |
222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및 수강료 납부 안 | 이소연 | Mar 20, 2012 | 376 | |
221 | 저소득층 학생 교육비 지원 원클릭 신청 알림(2차) | 박혜영 | Mar 14, 2012 | 402 | |
220 | 내 자녀 바로알기’NEIS 학부모서비스 신청 안내 | 이소연 | Mar 14, 2012 | 374 | |
219 | 2012학년도 주5일제 관내 지역사회 프로그램 소개 | 이소연 | Mar 14, 2012 | 367 | |
218 | 2012학년도 3월 17,24,31일 주 5일수업제 | 이소연 | Mar 14, 2012 | 374 | |
217 | SMS 전화번호 사용등록에 대한 보호자 동의서 | 이소연 | Mar 12, 2012 | 416 | |
216 | 학교홈페이지 회원가입에 대한 보호자 동의서 | 이소연 | Mar 12, 2012 | 385 | |
215 | 2012학년도 1학기 학부모 상담주간 안내 | 이소연 | Mar 12, 2012 | 440 |
학교에서 전하는 가정 통신문을 안내하는 곳입니다.